본문 바로가기
다락방

노우라고 말하고 싶은 진짜 이유

by 머니위너 2013. 7. 17.
아이는 사실 어른들보다는 조금 더 간섭받고 싶다. 그래서 언제나 '이거 해도 되요?' 라는 눈빛으로 엄마에게 신호를 보내고 '그래'내지는 '그건 안되'라는 신호를 받으면 내심 마음이 놓인다는 사실을.. 어른들은 믿을 수 있을까?

시은이도 그렇다. 엄마에게 물어봤을 때 성의없게 '니 마음대로 해' 라고 말하면 뭔가 불안하다. 그런데 다시 '괜찮아 네가 하고싶은데로 해도 좋아.'라고 '허락'하면 아이는 다시 쑥스럽게 무언가를 선택하곤 한다.

그렇다면 아이의 자유는?

난 아이가 정작 자유롭고 싶을 때면 일단 묻기를 생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다 정말 꼭 뭔가를 해야겠을 땐 부모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막무가내로 고집을 피우거나 심하면 청개구리식의 대응을 할 것이다. 이때 아이는 일단 '노우'라고 내뱉고마는데 아마 이때가 전쟁이 불가피한 순간이지 싶다. '안돼''할거야''싫어'라고 외치는 아이는 더이상 어떤 충고도 듣고싶지 않다.

그렇다면 이순간 아이의 진짜 마음은 무엇일까?

아이의 '노우'는 결코 엄마가 틀렸다는 뜻이 아닐것이다. 옳고 그름을 떠나서 "엄마가 화를 내는군! 흥, 나도 어른들처럼 안되라고 말 할 수 있다구!" 내지는 "하라는데로 하지 말아야지. 어른처럼" 이라는 꿍꿍이가 있는건 아닐까. 즉 목적은 잘 못 해서 뭔가를 그르치겠다는 것이 아닌 자기도 엄마에게 대항할 수 있다는 일종의 선포. 물론 나는 지금 바지 스스로 올리고 밥 스스로 먹을 수 있는 연령의 아이들에 대한 생각을 말하고 있다.

짧은 결론을 내려보자면,

첫째 아이는 결코 잘잘못을 몰라서 반항하는 것이 아니니 일단 물러서도 지는것이 아니란 점. 어른들은 결코 아이에게 질 수 없다는 못난 권위의식을 버려야한다. 둘째 이럴때 아이에게 대적하는 방법은 결코 효과적지 않으니 일단 아이를 이해해주고 아이 스스로 청개구리 주술에서 벗어날 때까지 잠시만 기다려 주면 어떨까. 몇분만 기다려줘보자. 재촉하지 않으면 '여기까지만' 이라고 생각한 아이가 의외의 반응을 보이는 것을 경험할 수 있을것이다. 덕분에 실제로 난 '안되' 라고 말하며 입을 삐죽거리는 아이가 이제 좀 귀엽게보이기 작했다. 엄마 반만한 꼬맹이가 기어코 자기 소리를 내겠다고 어른 흉내를 내니 아주 잠시만 귀기울여주자. 아이는 사실 잘못하고싶지도 엄마가 미운것도 아니다.

 

반응형

댓글